안녕하세요. 아마 스마트 스토어에 대해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요즈음 저도 디지털노마드에 관심이 생겨 유튜브에서 영상을 보던 중에 스마트 스토어에 관한 영상을 보게 되었는데요. 최근에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신 대학생 김머신님께서 올리신 '스마트스토어 창업'을 보고 전반적으로 스마트 스토어가 어떻게 흘러가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이 영상을 바탕으로 스마트 스토어의 전반적인 준비과정을 말씀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상품을 판매하는 과정을 간단히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쇼핑몰을 개설하고 (판매할) 상품을 찾은 후에 쇼핑몰에 업로드하고 판매하는 것입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상품이 팔리면 판매자는 수익을 얻게 됩니다. 이러한 전체적인 그림을 머릿속에 넣어주시고 이제 차근차근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쇼핑몰 개설
먼저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쇼핑몰을 개설해야 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쓰는 대부분의 검색엔진이 네이버이며, 네이버는 자사의 쇼핑몰 플랫폼인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를 적극적으로 밀어주므로 이것을 안 쓸 이유가 없습니다.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는 네이버 블로그를 쇼핑몰화 시킨 것이며 사업자를 내지 않아도 누구나 만들 수 있습니다. 이것을 만드는 방법은 위의 사진과 같이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센터에 들어가서 '판매자 가입하기'를 눌러주시면 만드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사업자를 내셨다면 쿠팡에도 입점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현재 쿠팡 앱을 다운로드하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쿠팡에서 많이 구입하기 때문에 상당한 트래픽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2. 판매할 상품 찾기
쇼핑몰에 팔 물건을 찾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아이템을 찾기 위해서는 실생활에서 쓰이는 물건들을 다양한 방면에서 보고 어느정도 사업적으로 가치가 있을지 생각해보면 좋습니다. 예를 들면 과일을 담는 바구니를 들여와 애완견을 담는 바구니로 판매하는 것처럼 말이지요. 쇼핑몰에서 판매할 상품을 결정하셨다면 이제 그 물건을 공급받아야 합니다. 여기에는 3가지 루트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판매자가 직접 물건을 국내 혹은 해외에서 소량 ~ 대량으로 사입하여 고객들에게 판매하는 것입니다. 국내든 해외든 직접 공장에서 가져온다면 훨씬 더 싼가격으로 가져온다면, [공장 -> 판매자 -> 소비자]로 유통 과정이 줄어들기 때문에 가장 큰 폭의 마진을 챙길 수 있는 방식입니다. 예를들어 alibaba.com에 들어가시면 여기에는 해외에 수많은 공장들이 싼 가격으로 팔고 있습니다.
그중에 블루투스 이어폰을 보시면 2.5달러로 약 3천 원에 파는 것을 볼 수 있을 텐데요. 이것과 같은 블루투스 이어폰이 8900원에 티몬에서 팔리고 있습니다. 물론 블루투스 이어폰을 국내로 가져오려면 전파인증을 받아야 합니다만, 전파인증을 받지 않아도 되는 아이템은 생각해보면 정말 많습니다. 그 예로 약 180원에 팔리는 휴대폰 액정필름을 브랜드화시켜 5800원에 파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사입하는 방식은 재고를 들여 놓아야 하는 공간도 필요하고 자본이 들어갑니다. 공간도 필요 없고 무자본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그 방법은 바로 두 번째 국내 위탁판매입니다. 국내에서 '도매매'라는 B2B 사이트는 주문 시 물건을 구매자 편으로 직접 배송해주는 서비스까지 해주는 위탁판매 업체입니다. 아래의 사진처럼 시중에 판매되는 금액보다 훨씬 저렴하게 올라와 있습니다.
국내 위탁판매 사이트에서 쇼핑몰에 팔 상품을 고른 후 일단은 마진을 적게 붙여서 팔다 보면 판매량이 꽤 되는 시점이 옵니다. 그때부터는 직접 사입하셔서 물건을 가져와 팔면 마진을 더 남길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무자본 창업에서 유자본 창업으로 넘어가는 테크트리입니다.
세 번째는 해외 구매 대행입니다. 이 방법도 무자본 창업으로 스타트 하기에 정말 좋은 첫 번째 루트입니다. 이 방법은 allibaba와 같은 중국 B2B 사이트 혹은 쇼핑 사이트에서 원하는 제품을 올린 뒤, 주문이 들어오면 해외에 바로 주문을 넣고 국내 구매자편 주소로 발송하는 것입니다. 중국인 판매자가 해외배송을 모른다면 걱정할 필요 없이, 중국에 사업장을 둔 '배송 대행지'에 가입하셔서 중국 판매자한테 그 주소 편으로 물건을 보내라고 한 뒤 배송대행지에 국내 편으로 보내라고 하면 끝입니다. 이 방법도 똑같이 구매 대행하고 있는 상품이 잘 나가게 되고 해당 상품의 지속적인 판매가 이루어질 것 같으면 한국에 대량으로 사입해와서 유자본 창업으로 판매하는 과정을 밟아주시면 됩니다.
3. 상품올리기
이제 상품을 가져왔으면 팔아야겠죠? 스마트 스토어에서 상품을 업로드할 때 대략 이러한 메뉴들을 마주치게 됩니다. 쇼핑몰에 업로드하기 위해 상품명을 쓰고 상품 상세페이지도 디자인해야 하고 태그를 작성해야 합니다. 상품 상세페이지는 판매하는 본인이 사고 싶을 정도로 상품페이지를 디자인하고 어필하셔야 합니다. 이때 포토샵은 하면 좋지만 필수는 아닙니다. 제조사 편에서 제공하는 이미지만 잘 배치해도 팔리게 만들 수 있을뿐더러, 망고 보드와 같은 디자인 플랫폼을 이용하시면 정말 간단하게 상품 상세 페이지를 디자인하실 수 있습니다.
4. 판매
상품을 이렇게 매력적으로 보이게 올리셨다면, 가격이 합리적이고 많은 경쟁사가 없다면 그 상품은 팔리게 될 것입니다. 예전에는 이렇게 세 가지 요소가 적당히 맞추어지면 판매가 보장되어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었지만, 이제 물건만 올리면 팔리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이제는 팔리도록 하는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마케팅입니다. 물건을 팔기 위한 모든 발버둥을 마케팅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오늘은 전반적인 스마트 스토어 준비 과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무자본으로 시작해서 유자본 창업으로 넘어가며 사업을 확장시켜 나갈 수 있는 게 참 매력적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매력적인 점만 보고 섣불리 시작하시면 손해를 보실 수도 있습니다. 실패하시는 분들에 관한 포스팅을 아래에 남겨놓을테니 필요하신분은 참고하여 주시고,
2020/03/15 - [생활 정보] - 스마트 스토어 창업 실패하는 이유
스마트 스토어 준비 과정에 대하여 더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다면 아래의 영상을 통해 확인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돈 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의 추월차선 (0) | 2020.04.03 |
---|---|
달러 환율 전망 및 환테크 (0) | 2020.04.03 |
스마트스토어 위탁판매 힘든 이유 (1) | 2020.03.30 |
스마트 스토어 창업 실패하는 이유 (0) | 2020.03.15 |
청약통장 예치금으로 얼마를 넣어야 1순위일까? (0) | 2020.03.10 |
댓글